데블 아니고 데블리

운동,햄버거, 개발 좋아요

🐷💻📝

프로그래밍/웹기술 2

API 방식에 따른 반환 클래스 구현

[개요] 백엔드는 spring , 프론트엔드는 vue 를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. 기존 thymeleaf 로 개발하던 방식과는 다르게 Api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. 그렇다면! 기존 thymeleaf 프로젝트와 Api 방식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? 1. Thymeleaf 사용해 개발한다. 데이터를 컨트롤러에서 사용하는 model 에 담아 타임리프 html 파일을 반환합니다. 여기서 타임리프는 HTML 및 XML 기반의 뷰 템플릿 엔진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며, 타임리프는 서버 측에서 실행되며, 클라이언트에게 렌더링된 최종 HTML을 전송합니다. 즉 타임리프가 알아서 다 할게! (서버 사이드 랜더링) 방식입니다. 2. RESTful API로 개발한다.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와 소통하는 방법이라고..

[로그인] 토큰 방식 로그인(Spring boot, Spring Security, JWT)

jwt토큰을 사용하여 로그인 구현합니다. (2024.03.23. 수정 중... 완료 예정 26일(화)) 기능에 대한 간단한 설명 토큰 기반 로그인입니다. 1 ) 클라이언트 서버로 ID/PW 로그인 요청(실제 로그인 하는 행위) 2 ) 서버에 해당 유저가 있다면 Access Token 과 Refresh Token을 발급 3 ) 클라이언트측(브라우저)에서 AccessToken을 포함하여 API 요청합니다.(axios) 4 ) 토큰 유효성 검사 후 토큰 유효 하면 그대로 진행, 유효하지 않다면 토큰 새로 발급받습니다. *RT 만료는 7일이라 여유롭습니다… 로그아웃 하고 다시 재로그인 시 1번 로직 타는거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편할 것 같습니다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전 공통으로 jwt(json 형식의 토큰)을..